카테고리 없음

예스24 해킹 사태 :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대처 방안

andorphine 2025. 6. 13. 11:00
반응형

 

 

20256, 대한민국 대표 인터넷 서점인 예스24(YES24)가 대규모 해킹 피해를 입으면서 수많은 소비자가 불편과 불안을 겪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시스템 장애를 넘어서, 디지털 소비 환경 전반에 대한 경고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예스24 해킹이 소비자에게 미친 영향과 향후 대처 방안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서비스 이용 불가로 인한 불편
예스24는 국내 최대 규모의 온라인 서점으로, 도서 구매뿐 아니라 공연 티켓 예매, 이북(eBook) 서비스, 음반/DVD 판매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해킹 이후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앱이 동시에 먹통이 되며, 이용자들은 책을 주문하거나 예매한 공연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특히 공연 관람을 앞둔 고객들은 현장에서 예매 내역 확인이 되지 않아 티켓 수령에 차질을 겪었으며, 오프라인 확인 수단을 마련하지 못한 이들은 입장을 거부당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이는 단순한 IT 사고가 아닌 문화 소비권 침해로까지 이어졌다.

 

이북 및 포인트 접근 차단
예스24는 많은 독자들이 전자책을 구매해 이용하고 있는 플랫폼이다. 하지만 해킹 사태 이후 기존에 구매한 전자책에 대한 접근이 차단되었고, 다운로드된 파일이 없는 경우 해당 콘텐츠를 다시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적립 포인트, 쿠폰, 이용권 등 예스24 내의 디지털 자산도 확인 불가 상태가 지속되면서 고객들은 자신이 결제하거나 적립해 둔 자산이 손실된 것은 아닌지 불안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독립서점 이용이 어려운 지역의 이용자들은 예스24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기에 그 피해 체감이 더욱 크다.

 

개인정보 유출 우려와 불신 확대
예스24 측은 현재까지 개인정보 유출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발표했지만, 해킹의 성격상 랜섬웨어 공격 가능성이 제기되며 고객들의 불안은 가중되고 있다. 이름, 주소, 결제정보, 독서 이력 등 민감한 정보가 유출될 경우, 이는 향후 피싱·보이스피싱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미 유사 사례로는 2023년 알라딘 해킹 사고에서 일부 고객 정보가 유출된 바 있어, 이용자들은 더 이상 대형 플랫폼의 신뢰성만으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플랫폼 신뢰도 하락 및 소비자 이탈
예스24는 해킹 이후 몇 차례 공지를 통해 시스템 복구 상황을 설명했으나, 명확한 피해 보상 기준과 일정은 아직까지 발표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고객 신뢰는 급속도로 하락하고 있으며, 일부 소비자들은 교보문고, 알라딘 등 대체 플랫폼으로 이탈하고 있다.

 

예스24 주가는 해킹 직후 3.8% 이상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반영했고,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불만 글이 연일 폭주하고 있다. 이는 단기적인 매출 손실을 넘어 장기적인 브랜드 이미지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이버 보안 강화 요구 증가
이번 사건은 디지털 플랫폼을 운영하는 모든 기업에게 보안 시스템 강화의 중요성을 재차 상기시켰다. 예스24뿐 아니라 유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라딘, 인터파크, 리디북스 등도 보안 점검에 나서며 업계 전체가 긴장 상태에 있다.

 

소비자들 역시 자신이 이용하는 플랫폼의 보안 수준에 민감해졌으며, 투명한 정보 공개와 대응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용을 중단하거나 플랫폼 변경을 고려하고 있다. 향후 대형 플랫폼일수록 보안 전문 인력 확보와 투자 확대가 필수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소비자 대응 요령 및 주의사항
해킹 사태는 예기치 않게 발생하지만, 소비자 차원에서도 최소한의 대비는 가능하다. 먼저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이메일·문자에 포함된 링크 클릭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적립금 및 예매 정보는 스크린샷이나 출력 형태로 별도 저장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후 서비스 복구 이후 예스24 측에서 개인정보 유출 여부, 디지털 자산 보상 기준, 콘텐츠 접근 보장 등에 대한 상세한 공지를 제공해야 하며, 소비자들도 공지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자신의 정보에 이상 징후가 있을 경우 곧바로 고객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스24 해킹 사태는 단순한 시스템 문제를 넘어, 디지털 소비의 일상화 시대에 보안 사고가 얼마나 치명적인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당장은 소비자 불편과 불신이 극대화되고 있지만, 이 사건이 계기가 되어 국내 디지털 플랫폼의 보안 의식이 전반적으로 강화되기를 기대한다.

반응형